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클린트 이스트우드2

내 인생의 마지막 변화구, 나이를 먹는 다는 것 내 인생의 마지막 변화구 Trouble With The Curve 영화를 통해 본 나이를 먹는 다는 것에 대한 고찰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노인 문제가 화두가 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OECD 가입 국가 중 노인 자살률 1위라는 불명예를 몇해째 이어가고 있다. 우리나라는 65세 이상 인구 10만명당 81.9명으로 일본(17.9명), 미국(14.5명)과 비교해 엄청난 노인 자살률을 기록하고 있다. 사람이 죽는 것은 당연하다. 나이가 들어 죽는 것은 자연의 섭리이고 이치이다. 하지만 자살의 경우는 다르다. 자살은 자연의 섭리와는 관련이 없다. 자살은 인간의 생리적인 수명에 의한 죽음이 아닌 자의적으로 또 고의적으로 죽음을 선택하는 것이다. 그래서 자살률이라는 통계는 사회의 성숙도와 안정도을 평가하는데 .. 2012. 12. 31.
그랜 토리노, 클린트 이스트우드의 매력에 빠지다. 그랜 토리노, 오랫만에 괜찮은 영화를 보다. 클린트 이스트우드 그의 매력에 빠지다. 너무 흥분되지도, 너무 감상적이지도 않게 그렇게 영화 한편을 쭉 지켜 보았습니다. 클린트 이스트우드 클린트 이스트우드, 이 영화의 주인공이자 감독인 그는 전형적인 미국인 그 자체입니다. 보수주의자이자 공화당의 열렬한 지지자인 그는 정계에도 진출한 바 있었죠. 영화 속 주인공, 월트 코왈스키는 그런 그의 실제 모습이 고스란히 전이 되어있는 듯 합니다. 영화 속의 그는 '미국 현대화의 상징' 포드에 자신의 한 평생을 바쳤습니다. 자신의 아들이 도요타의 차를 모는 모습을 바라보며 한숨짓는 모습에서 그가 얼마나 보수적인지를 느낄 수 있었습니다. 물론 영화 도입부에서 중반부까지 그는 시종일관 백인우월주의라는 관점으로 주변의 중국계.. 2012. 4.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