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대한민국6

학점을 파는 열혈 장사꾼, 대학 지독하리만치 높은 교육열, 가정의 뿌리를 뽑아낼 듯한 기세의 사교육비, 전국 고등학생 대학 진학률 84%, 학기당 500만원씩 뿌려대며 다닌 대학에서의 4년 그리고 청년실업. 이것은 현재 우리네 청년들이 바라보는 대한민국의 사회 및 교육의 모습이다. 지금의 대학생들은 지난 15년 이상을 주변의 기대라는 엄청난 무게를 어깨에 짊어진채 이러한 취업난을 향해 앞만보며 질주해왔다. 도대체 어디서부터가 잘못된 것일까? 도대체 무엇이 우리 대학생의 눈에서 피눈물을 뽑아내는 것일까? 물론, 이 문제에 대한 해답은 사회적 문제라는 관점에서 광범위하고 다양한 문제들의 화학작용을 통해 나타난 결과물이다. 때문에 정확히 무엇이다라는 결론을 내리는 것은 아주 무모하고, 또 거센 반발을 일으킬 수 있는 종류의 문제임에 틀림없다.. 2010. 4. 1.
대한민국이여, TV를 꺼라. 어느 해나 그러했듯 올해의 밤도 각종 시상식이 TV로 방영되고, 인터넷도 그에 따른 결과와 이슈들로 시끌벅적하다. 누가 상을 받았다느니, 누가 받았어야 했다느니, 누가 시상식에서 이런 행동을 했는데 그런 행동은 공인으로서 올바른 행동이 아니다는 등 오늘도 우리는 그들의 행동을 주시하고 민감하게 반응한다. Entertainment가 주 목적인 TV는 그 목적대로 우리에게 즐거움을 주기 위해 개발 되었고, 각종 프로그램들 또한 이러한 목적으로 제작, 방영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오늘날 그 어떤 프로그램도 우리에게 즐거움만을 주는 것 같지는 않다. 우리는 단 한번도 실제로 만나본 적 없는 연예인이라는 이들을 싫어하고, 미워하고, 시기한다. 그들의 행동을 비난하기도하고, 그들의 행동에 스트레스 받고, 상처받는다... 2010. 1. 1.
대한민국의 국가 경쟁력 내가 만든다!!! 지식 재산권의 보호, 위조 상품 근절을 위한 홍보 영상을 제작해 봤습니다. 만들고 보니 투자한 시간에 비해 너무 간단하고 쉬운 형태의 영상이 제작 되었네요. 그도 그럴것이 아직 타임라인 밖에 사용할 줄 모릅니다. 순수한 노가다의 산물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그래도 열심히 만들었습니다. 한국지식재산보호협회에서 블로그 기자단 활동을 하며 위조 상품과 지식재산, 특허에 관한 많은 정보와 경험 그리고 현실을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내'가 구입한 위조상품, 국가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우리'가 구매하고 판매하는 위조상품의 영향은 우리 대한민국의 국제 경쟁력 및 신뢰도에 커다란 영향을 미칩니다. 지식재산보호수준 세계 44위 대한민국의 위상 우리가 바로 세웁시다!!! 2009. 11. 4.
대한민국 교육을 말하다 3-서울과 지방의 격차 2009년 10월 4일자 국민일보 고교별 서울대 합격자수 서울 편중 최근 5년간 서울대 합격학교 상위 상위 10개중 9개교가 서울소재 학교 과거 경기 등 명문고 빛 바래 최근 지난 5년간 서울대에 합격생을 낸 상위 고등학교 10개 중 9개 학교가 서울시 소재 학교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 서울 소재 학교 가운데 1/4이 특목고로 서울 지역 교육편중이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학교가 4일 국회 교육과학위원회 소속 황우여 의원(한나라당)에게 제출한 ‘최근 5년간 지역별 서울대 합격자 현황’에 의하면 서울 예술 고등학교가 439명으로 전국에서 서울대학교를 가장 많이 보낸 학교로 나타났다. 이어 서울과학고 321명, 대원외고 311명으로 그 뒤를 이었다. 상위 10개교 가운데 지방소재학교로는 부산 한.. 2009. 10. 10.
대한민국 교육을 말하다 2-교원평가제도 교사라는 직업은 여타 직종에 비해 사명감이 굉장히 중시된다. IMF 금융 위기 이전만 하더라도 교사라는 직종은 지금과 같이 인기 있는 직종이 아니었다. 넉넉하지 못한 페이와 자칫 지루하게 느낄 수도 있는 순탄한 생활은 금융 위기 이전의 구직 예정자들에게는 그다지 큰 매력으로 다가오지 않았을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교직에 종사한 당시의 교사들은 교육에 대한 자신들의 가치관이 있었고 그들 직업에 대한 사명감을 가졌다. 그들은 어쩔 수 없이 생활하기 위해 교사가 된 것이 아니라 그들이 직접 어떠한 의도에 의해 교사라는 직업을 선택한 것이기 때문이다. 교사라는 직종에 종사하는 모든 이들에게 해당 되는 사항은 아니겠지만 현재의 교사들은 다소 교직을 직업으로만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그들은 여타 대기업 등에 비.. 2009. 10. 9.
대한민국 교육을 말하다 1-입학사정관제도 한 사회에 있어 교육의 중요성은 이루 말할 수 없다. 그래서 각 국가는 교육을 담당하는 기관을 만들었고, 이것이 곧 학교인 것이다. 학교의 목표는 단순히 언어, 수학, 과학 따위의 지식의 습득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한 개인의 인격을 형성하고, 한 사회의 생활양식을 익히며, 보다 축소된 단위인 학교 속에서 실제 사회를 미리 경험하고 그 적응력을 키우는 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하지만 교육, 학교의 목표라는 관점에서 우리나라의 교육현실을 살펴보면 우리네 교육은 이미 다른 길을 향해 걷고 있다는 것이 자명하다. 지금의 초, 중, 고등학교의 교육은 좋은 대학을 가기 위한 수단에 지나지 않으며, 그 역할이 충분치 못하다 여겨져 이는 바람이 바로 '사교육'인 것이다. 그리하여 대학에 진학하게 되면, '상아탑'이라.. 2009. 10. 8.
반응형